프론트엔드/JavaScript
[JavaScript]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자
병걸
2023. 4. 24. 13:32
조건문으로는 크게 if 조건문, switch 조건문이 대표적이다.
각 조건문에 들어가기 앞서 조건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교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자.
1) ===, !== : 서로 다른 두 값이 같을 경우 ===, 다를 경우 !== 를 사용
2) > , < , >= , <= : 서로 다른 두 값을 비교하여 작거나, 크거나, 크고 같거나, 작고 같은지 판단할 때 사용
먼저 if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자.
var a = Number(prompt("1과목 점수를 입력하시오.",""));
var b = Number(prompt("2과목 점수를 입력하시오.",""));
var c = Number(prompt("3과목 점수를 입력하시오.",""));
var sum = (a+b+c)/3;
if(a>=40 && b>=40 && c>=40){
if(sum >=60){
document.write("합격")
}
else{
document.write("불합격")
}
}
else{
document.write("과락");
}
위 코딩은 1~3과목의 평균을 구해서 합격 불합격 또는 과락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- if 조건문은 if 절 안에 있는 조건식이 참인 경우 해당하는 if문 또는 else, else if 문을 실행합니다.
- 따라서 a>=40 && b>=40 && c>=40의 삼항연산자의 값이 참일경우 sum >= 60이 if 조건문을 가게 되면 참이게 될 경우 합격이 출력되게 됩니다.
- else if 절 같은 경우 객수 제한이 따로 없습니다.
다음으로는 switch문에 대해서 알아보자.
var num = prompt("1~7사이의 숫자를 입력해주세요.", "");
switch(num) {
case '1' :
console.log("빨강");
break;
case "2" :
console.log("주황");
break;
case "3" :
console.log("노랑");
break;
case "4" :
console.log("초록");
break;
case "5" :
console.log("파랑");
break;
case "6" :
console.log("남색");
break;
case "7" :
console.log("보라");
break;
default :
console.log("1~7시 숫자만 가능합니다.")
}
위 코딩은 1~7사이의 숫자를 입력하고 각 case에 맞는 숫자에 색상을 콘솔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- switch 문은 num에 입력된 숫자로 case안에 각 맞는 조건에 있는 문을 출력하게 됩니다.
- break 문을 만나면 해당 swith문을 나가게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