끄적끄적 메모장
[Typescript] tsconfig.json 에 대해서 알아보자 본문
타입스크립트로 처음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tsconfig.json파일을 생성하여 기본 세팅을 해줘야 한다.
tsconfig.json파일에 들어가는 요소들에 대해서 알아보자
{
"include": ["src"],
"compilerOptions": {
"outDir": "build",
"target": "ES6",
"lib": ["ES6", "DOM"],
"esModuleInterop": true,
"strict": true,
"allowJs": true,
"skipLibCheck": true
}
}
● include : [ src ]
타입스크립트가 src의 모든 파일을 확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
● outDir
자바스크립트 파일이 생성될 디렉터리를 지정해 준다.
● target
어떤 버전의 자바스크립트로 타입스크립트를 컴파일하고 싶은지를 정할 수 있다. (기본적으로 ES6가 가장 좋다)
● lib
컴파일러에게 사용 가능한 라이브러리의 목록을 제공한다. 라이브러리중 "DOM"을 사용하게 되면 구현할때 자동완성으로 인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도와준다.
● allowJs
컴파일러가 타입스크립트 파일뿐만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파일도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정한다.
true로 설정을 하면 자바스크립트 파일도 컴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.
※ js 파일에서 @ts-Check를 활용하면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타임스크립트 파일처럼 보호할 수 있다.
● skipLibCheck
컴파일 할때 라이브러리 파일의 타입을 체크할지 말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.
true로 설정을 하면 라이브러리 파일에 대한 타입 체크를 수행하지 않아 컴파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.
● strict
엄격한 타입 체크를 활성화 할 수 있다.
'프론트엔드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ypeScript] Interface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3.05.23 |
---|---|
[TypeScript] Public, Private, Protected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3.05.17 |
[TypeScript] 함수(function)에 대해서 알아보자! 2 (0) | 2023.05.16 |
[TypeScript] 함수(function)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3.05.16 |
[TypeScript] 기본 문법 알아보기 2 (0) | 2023.05.15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