끄적끄적 메모장
[JavaScript] 연산자 공부하기 본문
연산자를 공부해보자
사칙연산자, 연결연산자, 증감연산자, 대입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삼항 조건 연산자를 공부하고자 한다.
먼저 사칙연산자로 +, -, *,/, %가 있습니다.
// 숫자를 저장할 변수 2개 만들기
var number1 = 10;
var number2 = 3;
let result;
result= number1 + number2;
console.log(result); // 13
result= number1 - number2;
console.log(result); // 7
result= number1 * number2;
console.log(result); // 30
result= number1 / number2;
console.log(result); // 3.3333333333333335
result= number1 % number2;
console.log(result); // 1
/ : 나누고 나온 값
%: 나누고 나온 나머지값
다음으로는 연결연산자를 알아보자
// 숫자와 문자를 저장할 변수 선언
let city="seoul";
let nation="korea";
let year = 2021;
let month = 5;
console.log(nation+city); //koreaseoul
console.log(city+year); //seoul2021
console.log(nation + year + month); //korea20215
console.log(year + month + nation); //2026korea
+를 사용하여 앞뒤 중 하나라도 문자이면 연결 연산자이며 둘다 숫자이면 산술 연산자로 사용된다.
즉 nation(문자)을 먼저 선언하여 뒤에 오는 숫자는 문자로 출력이 되면 nation(문자)가 나중에 출력하여 앞에 숫자들은 산술연산자에 의해 수행되었다.
다음으로는 증감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
let a = 10;
let b = 5;
a++;
console.log(a); // 11
++a;
console.log(a); //12
console.log(++a); //13
console.log(a++); //13
console.log(a); //14
b--;
console.log(b); // 4
--b;
console.log(b); // 3
console.log(--b); // 2
console.log(b--); // 2
console.log(b); // 1
변수에 들어있는 값을 1씩 증가하거나 1씩 감속할때 사용한다.
예를 들어 ++a 와 같이 앞에 있을 경우 1를 더하고 a++ 와 같이 뒤에 있을 경우 구문이 끝난 후 1을 더하게 됩니다.
다음으로는 대입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
// 숫자 변수 선언하기
var num1 = 10;
var num2 = 3;
var num3;
num3 = num1;
console.log(num3); // 10
num1 += num2; // 10 + 3 = num1
console.log(num1); // 13
num1 -= num2; // 13 - 3 = num1
console.log(num1); // 10
num1 *= num2; // 10 x 3 = num1
console.log(num1); // 30
num1 /= num2; // 30 ÷ 3 = num1
console.log(num1); // 10
num1 %= num2; // 10 % 3 = num1
console.log(num1); // 1
오른쪽에 있는 결과값을 왼쪽의 연산자에 할당할때 사용하게 됩니다.
다음으로 비교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.
var num1=10;
var num2=3;
var str1="10";
console.log(num1>num2); // true
console.log(num1>=str1); // true
console.log(num1==str1); // true
console.log(num1===str1); // false
console.log(num1!=str1); // false
console.log(num1!==str1); // true
피연산자(데이터)값이 크거나, 작거나, 같거나, 다르거나를 비교할때 사용하게 됩니다.
== 와 ===의 차이는 type을 포함하여 비교하거나 아니거나의 차이입니다.
즉 num1 === str1은 같은 10이지만 type이 문자와 숫자로 다르기 때문에 false로 출력됩니다.
다음으로 논리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
//변수를 3개 선언하기
var num1 = 100, num2 = 5, num3 = "5", num4 = 50;
// 현상태를 반대로 만들어줄때
console.log(!num1 >= num2);
// num1, num2의 >= 그 결과값을 반대로 만들기 true -> flase
// && 두개의 조건을 다 만족했을때만 true (and)
console.log(num1 < num2 && num2 > num4);
// num1<num2 && num2>num4 => 0 && 0 => false
console.log(num1 < num2 && num2 < num4);
// num1<num2 && num2<num4 ==> 0 && 1 => false
console.log(num1 > num2 && num2 > num4);
// num1>num2 && num2>num4 ==> 1 && 0 => false
console.log(num1 > num2 && num2 < num4);
// num1>num2 && num2<num4 ==> 1 && 1 => true
// || 둘중에 하나만 만족하면 true (or)
console.log(num1 < num2 || num2 > num4);
// num1<num2 || num2>num4 => 0 || 0 ==> false
console.log(num1 < num2 || num2 < num4);
// num1<num2 || num2<num4 => 0 || 1 ==> true
console.log(num1 > num2 || num2 > num4);
// num1>num2 || num2>num4 => 1 || 0 ==> true
console.log(num1 > num2 || num2 < num4);
// num1>num2 || num2<num4 => 1 || 1 ==> true
! : 결과의 반대로 만들어주는 NOT
&& : 두개의 조건을 다 만족했을때만 true를 호출하는 AND
|| : 두개의 조건중 한개의 조건만 만족했을때 true를 호출하는 OR
다음으로 삼항조건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
// 변수에 나이를 입력
// 나이가 20보다 작으면 학교로 돌아가세요
// 20보다 크면 "열심히 공부하세요"가 출력이 되도록
//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prompt 를 사용합니다
var age = prompt("나이를 입력하세요","예를 들어 20");
age>20 ? console.log("열심히 공부하세요"): console.log("학교로 돌아가세요");
위에 나이 입력은 20이하로 입력할 시 거짓이 나와 뒤에 있는 "학교로 돌아가세요" 가 출력이 됩니다.
삼항조건 연산자는 항이 3개이고 조건이 있고, 그 조건의 결과가 참일때와 거짓일때 사용합니다.
조건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조건문 ? 조건이 참일때 처리할 문장 : 조건이 거짓일때 처리할 문장
이상으로 연산자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'프론트엔드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3.05.02 |
---|---|
[JavaScript] 배열 속성과 메소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3.04.24 |
[JavaScript]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3.04.24 |
[JavaScript]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3.04.24 |
[JavaScript] 변수 var const let 공부 (0) | 2023.04.20 |